오케스트라편곡3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 ㅣ 악기군의 블렌딩 목관과 금관의 한 소리(동음) 결합 목관악기와 금관악기의 결합은 금관의 톤이 두드러지는 하나의 복합적인 공명을 산출한다. 이 공명은 개별적인 각 악기의 공명보다 물론 더 강력하지만 금관 악기만의 공명보다 다소 더 부드럽다. 목관의 톤은 상이한 색채의 목관 악기 2개를 결합할 때와 마찬가지로 금관의 톤과 섞일 때 금관의 톤을 부드럽게 만들고 순화시킨다. 그러한 중복의 경우는 꽤 많으며 특히 포르테(f) 패시지(pasage)에서 그러하다. 그 중에서 트럼펫이 가장 빈번하게 중복되는 악기이다. 즉 트럼펫 + 클라리넷, 트럼펫 + 오보에, 트럼펫 + 플루트, 트럼펫 + 클라리넷 + 오보에 + 플루트 등이다. 상대적으로 호른은 드물게 중복한다. 호른 + 클라리넷, 호른 + 바순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트롬본과 튜바도.. 2022. 6. 4. 오케스트라에서 효과적인 목관 그룹 멜로디 목관 그룹 멜로디 특징적이고 표현적인 멜로디를 위한 악기 선택은 그 악기의 뚜렷한 특색에 기반한다. 대부분의 경우 그 문제는 관현악 작곡자 자신의 개인적 취미에 따라 달라진다. 공명과 음질의 관점에서 행해지는 목관을 동음(같은 음)이나 옥타브로 사용하는 가장 좋은 방법, 혹은 멜로디를 3도나 6도, 그리고 혼합된 음정으로 분배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목관악기의 정상적인 순서와 가장 자연스러운 공명을 내는 순서는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이다. 이러한 자연적인 순서, 즉 바순을 클라리넷과 오보에 위에 위치시키고 혹은 플루트를 오보에와 클라리넷 밑에, 특히 바순 밑에 위치시키는 순서에서 출발하면 부자연스러운 톤을 내지만 어떤 경우에는 특수한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동음(같은 .. 2022. 6. 2. 오케스트라에서 효과적인 현악기 그룹 멜로디 동음(같은 음)으로 그룹 만들기 a) 제1 바이올린과 제2 바이올린 이 결합은 음색에서 하등의 변화도 가져오지 않는다. 이 결합은 연주자 수의 증가로 톤의 힘과 풍부함을 가지며 보통 어떤 부문의 목관의 멜로디와 겹친다. 많은 수의 바이올린이 목관이 우세해지는 것을 막으며 음은 풍부해지고 확대된 현악 4부의 음질로 계속 남는다. b) 바이올린과 비올라 이 결합은 바이올린과 바이올린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특별한 특징을 나타내지 않는다. 바이올린이 계속해서 지배적이며 공명이 풍부하고 충만해진다. c) 비올라와 첼로 이 결합은 풍부하고 충만한 공명을 산출한다. 이 조합에서는 첼로의 음질이 지배적이다. d) 바이올린과 첼로 이 결합은 비올라와 첼로의 조합과 비슷하다. 첼로의 톤(tone)이 지배적이고 공명은 더욱 .. 2022. 5. 27. 이전 1 다음 반응형